본문내용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통일부

메뉴시작
주메뉴 닫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전체메뉴

통일부소식

통일부 영상

통일영상

[통일현장] 청소년의 시선으로 ‘통일’과 ‘광복’을 그리다! 50초 통일 숏츠 영화제

작성자
관리자
작성자
장수민
작성일
2025-06-11
조회수
1081

호러와 뮤지컬, 스릴러와 만화, 게임과 다큐까지~
장르를 초월한 다양한 통일 이야기!
50초 숏츠 영화제에서 만났습니다.

(장르를 초월한 다양한 통일 이야기)

(함께 참여하는 통일 50초 통일 숏츠 영화제)

매년 특별한 영화 시사회와 시상식이 열리는 곳.

(25. 5. 23.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은 매년 초중고등학교 학생과 동일한 나이의 청소년들이 참여하는 50초 숏츠 영화제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제4회 50초 통일 숏츠 영화제 청소년의 시각으로 풀어낸 통일 이야기)

고영환 / 국립통일교육원 원장>
여러분 한 명 한 명의 상상과 꿈 그리고 오늘 만든 이 소중한 영상이 내일의 한반도
미래의 평화와 통합의 밑거름이 되리라고 확신합니다


광복과 통일을 영화제의 주제로 청소년들이 직접 제작한 작품이 영화제에 출품됐는데요.

(광복, 통일, 광복과 통일을 주제로 176편의 작품 출품)

정재형 / 영화제 참가>
50초 안에 여러 이야기를 넣기에는 너무 힘들다고 생각해서 어떻게 하면 임팩트 있고 좋게 영상을 제작할 수 있을까
라는 생각에 저희는 통일의 장점들만 구성을해서 영상을 만들었는데 그 부분이 제일 어려웠습니다

예선 심사와 국민투표, 결선 심사를 거쳐 수상작 18편이 선정됐습니다.

(예선 심사(4.28.~5.2.) → 일반 대상(5.11.~5.15.) → 국민투표 결선 심사(5.16.))

박계리 / 50초 통일 숏츠 영화제 심사위원>
숏츠 형식이라든가 앵글 각도라든가 편집의 속도라든가 이런 부분들이 잘 되어 있는 것들도 있었고 저희가 통일 교육의 확산이 중요하기 때문에 몇 명이 참여했는지도 보았는데 한 반 전체가 같이 참여한 작품들도 있어서 굉장히 좋았습니다

초등부와 중등부, 고등부의 최우수상 작품들을 만나볼 시간!

초등부 최우수상
작품명: 우리는 가족인가요?
수상자: 김지현 외 2 (춘천동내초등학교)
남북은 다투지만 결국 하나의 가족임을 상기시키며 화해와 회복의 메시지를 전하는 영상

행복하고 싸우고 그런 게 가족인 것 같아요.
같이 붙어있는 게 가족인 것 같아요.
싸워도 아무렇지 않게 같이 그냥 하는 게 가족 같아요

중등부 최우수상
작품명: 80년 후
수상자: 양현지 외 12 (소사중학교)
기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통일에 무감각해진 현재를 다시 돌아보게 하는 메시지를 전달

하나면 하나지 둘이겠느냐
근데 진짜 가능해?
우리가 100퍼 손해지
굳이?
너무 늦었어
꿈깨 정신차려 허황된 꿈이라고

중등부 최우수상 팀>
저희 부원들이 처음 모여서 만든 올해 첫 작품이거든요
다들 연기도 서툴고 각본 만드는데도 애를 많이 썼는데 이 첫 작품이 최우수상이라는 높은 상을 받아서 좋은 결과로 가져갈 수 있는 게 너무 뿌듯하고 좋습니다

고등부 최우수상
작품명: 통일 왜 해야 할까?
수상자: 정희찬 외 2 (원주의료고등학교)
통일의 장점을 명확하고 간결하게 요약해 통일의 필요성을 강조

통일 왜 해야할까요
통일을 하게 되면 대한민국의 기술과 북한의 자원이 만나 큰 경제적 힘을 내고 오랜 시간 떨어져 지낸 이산가족이 다시 만나 서로 다른 생활 방식과 문화를 나누며 더 풍부하고 따뜻한 사회를 만들어갈 것입니다

정희찬 / 고등부 최우수상>
팀원들과 함께 통일에 대해 긍정적인 측면에 대해 알아보면서 통일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 알아볼 기회가 되어 좋았던 것 같고 하나의 짧은 영상을 만들어 보면서 팀원들과 단합력도 쌓을 수 있어서 좋았던 기회였습니다

짧은 영상으로 만든 통일에 대한 상상!
누리집에서 더 많은 영상들을 확인하세요~

첨부파일

저작권표시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안내
통일부의 [통일현장] 청소년의 시선으로 ‘통일’과 ‘광복’을 그리다! 50초 통일 숏츠 영화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관리부서 :
    전부서(공통) 전부서(공통)
  • 전화번호 :
    1577-1365
  • 콘텐츠 최종 수정일 :
    2023-11-20
TOP